본문 바로가기
그림갤/빛 색 그림자

채색하는 법 3편 : 색감에 대한 고찰

by 그붕이 2021. 5. 16.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rawing&no=62077 

 

채색하는 법 3편 : 색감에 대한 고찰 - 그림 갤러리

원래는 빛에 대해서 쓰려고 했는데 댓글 질문 답변 겸 색감에 대한 얘기를 먼저 하고 넘어가겠습니다.(이전글들은 '채색하는 법' 검색 ㄱㄱ)이번글은 객관적인 사실을 제시하기보다는 좀 더 제

gall.dcinside.com

원래는 빛에 대해서 쓰려고 했는데 댓글 질문 답변 겸 색감에 대한 얘기를 먼저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이전글들은 '채색하는 법' 검색 ㄱㄱ)

이번글은 객관적인 사실을 제시하기보다는 좀 더 제가 생각하고 연구한 주관적인 내용들이 많이 들어갔음을 감안해주시고 보면 좋겠습니다.

 

제 생각에 색감이 좋다라는건 결국 그림 안에서 색, 즉 명도, 색상, 채도가 어떻게 조화롭고? 다양하게? 어우러졌냐를 따지는 거라고 봅니다

말 좀 애매한데, 예시를 들면서 보도록하죠.

 

 

 

 

 

여기 누구나 다들 아는 모 게임의 일러스트입니다.

이 그림을 크게 2가지 관점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1. 빛에 의한 색 변화

2. 디자인 요소로서의 색

 

 

 

 

1. 빛에 의한 색 변화

 

제가 맨 처음 글에서 말했듯이 빛은 크게 2개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직접광 : 광원 -> 대상

(2) 간접광 : 광원 -> 다른 물체/환경 -> 대상, 주로 그림자 안이 간접광의 영역입니다.

 

 

빛이 캐릭터의 후방에서 오면서 테두리부분이 밝게 비춰지고, 나머지 부분은 그림자의 영역입니다.

그런데 나머지가 그림자라기에는 어둡지가 않죠?

위에서 말했든 간접광 때문입니다.

 

 

붉게 표시한 부분을 보면, 캐릭터의 피부가 단순하게 단색으로 표현 된 것이 아니라,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아 다채롭게 색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바로 눈에 들어오는 부분만 표시했는데 이런 관점으로 그림의 다른 부분도 유심히 관찰해봅시다.

 

포토샵에서 각 부분을 스포이드로 찍어보면 우리가 같은 색이라고 인지하는 부분이라도 얼마나 다양한 색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색 변화는, 반드시 주위 환경과 빛의 영향을 받기 마련입니다.

 

 

 

 

2. 디자인 요소로서의 색

 

색의 3요소, 즉 명도, 색상, 채도가 그림 안에서 어우러져 어떻게 쓰였나를 말합니다.

이렇게 말하면 너무 애매하니까 이번에도 예시를 들어봅시다.

 

 

머리카락과 피부의 색을 스포이드로 찍어봤습니다. 물론 그 안에서 다양한 색 변화가 나타나지만 크게 저 2가지 계열로 볼 수 있겠죠?

딱 보기에도 위의 파란색이 더 명도가 낮습니다(어두움), 그리고 한색(차가운 색)이죠.

반대로 피부는 명도가 상대적으 높고(밝음), 난색계열(따뜻한 색)입니다.

 

고명도와 저명도가 만나면 그 명도 대비로 인해 눈에 잘 띱니다.

(ex 이전 글에서 말했던 렘브란트 그림)

빛에 의한 명암 대비가 아니라, 고유색에서부터 명도 대비를 줌으로서, 그 효과를 한층 더 준 것이죠.

 

 

당연히 배경과 명도 대비가 큰 왼쪽 점이 더 잘 보입니다.

 

한색은 주로 파란색 계열의 고채도의 색을 말합니다.

난색은 주로 빨간색 계열의 저채도의 색을 말합니다.

결국 둘 다 색상과 채도의 변화를 조절한 것이죠.

 

(빨리 칠해서 발퀄 ㅈㅅ)

 

위와 같은 개념으로 그림을 보면, 극단적으로 단순화해서 위 사진처럼 '캔버스의 각 영역에 명도, 색상, 채도가 어떻게 배분되었나'라는 관점으로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것에 대해 설명하려면 채색에서 더 나아가 구도나 시선의 흐름, 그림의 목적까지 언급해야 되서 간단하게만 언급하자면, 명도, 색상, 채도의 '대비'를 중요하게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oAC0ALXJe4

이런식으로 이미지를 보는 관점을 바꾸면 이런것도 가능합니다.(물론 엄청난 연습이 뒤 따라줘야 하지만)

 

아무튼 그림에서 명도, 색상, 채도가 어느 위치에 사용되고, 어떻게 조합됐는지 관찰한다면 '색감'이라는 신기루에 좀 더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